티스토리 뷰

삼보에 귀의합니다. 

 

https://cafe.daum.net/everyday1bean     

다음카페 : 붓다스쿨

 

담큐 160 웃음이 좀 헤프면 어때요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내가 웃어야 거울도 웃는다. 내가 웃어야 청중도 웃는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자.
-<생각정리스피치> 중-

웃는데 어떤 문제가 있나요? 물론 웃지 말아야 하는 순간에 웃으면 이것은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한 것이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웃어야 할 때 웃음이 필요한 순간에 웃는 것에는 단 하나의 문제도 없습니다.
기분은 어른의 매너입니다. 스스로의 기분을 조절하지 못하는 것. 이것은 어른으로써 매너가 부족한 것입니다.

만약 안 좋은 기분을 다른 사람에게 들킨다면?
이것을 넘어 그 기분을 타인에게 풀려고 시도한다면?
이것은 매너가 부족한 것을 넘어서 '똥매너' 입니다.
다른 사람의 기분까지도 악취가 풍기도록 만들었으니까요.
그 사람의 가장 소중한 장소인 마음방에 들어가 똥을 싸고 간 것입니다. 치우지도 않고...
니탓이라고 우기고 모함하면서!

웃음이 좀 헤프면 뭐 어떻습니까? 웃으세요. 웃는 것도 기술입니다.
잘 웃는 법도 배우고 익히면서 동시에 웃으세요. 되도록 자주.
2023.10.28 오늘도 붓다로 삽시다!

 

오늘의 경전

<입보살행론>

8:87 동굴 안이나 나무 밑, 빈집에서 원하는 동안 살리라. 재물에 대한 애착을 버렸으니
이젠 걱정없이 한가로이 지낼 수 있으리라.

 

오늘의 동영상
금강경에 물들다 277페이지, 에덴동산에서 쫓겨난 적이 없다! [선요가 소참법문 14-1회] (20200621)
https://youtu.be/yhtfm-GqYFI

반야 : 인식의 틀을 깨버린다....  일반사람들의 인식 이분법 // 이분법의 틀로 공유된 의식.. 이분법에서 벗어난 것 반야

시작 - 끝.. 무시이래 시작되었다.. 시작 전.. 

 

 

보살수업 #애어섭 #중생을보는관점 #복전 #지악수선 

(3) 여러 가지 선업을 짓는 것을 잘 배워야 한다

 

5:79  말을 할 때는 부드럽고 온화한 목소리로 진지하고 조리 있게 분명하게 하며
듣는 이의 마음도 귀도 즐겁게 자비로운 마음으로 해야 한다네.

#애어섭 

세상을 바꾸려고 노력하지 마세요. 헛수고입니다.
내 눈을 바꾸면 됩니다. 내 눈 하나가 바뀌면 내가 경험하는 세상이 전부 바뀝니다.
보살이 가장 먼저 바꿔야 하는 것은  중생을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중생은 어떤 존재인가요?

이에 대한 답변이 바뀌어야 진정으로 중생을 사랑하고 아끼며 그들을 책임지고 구할 수 있습니다.
중생을 바라보는 관점, 이것이 우리들의 말그릇을 형성합니다.
말그릇이 크고 올바르다면 우리는 중생을 향해 기쁘고 좋은 말을 할 수 있습니다.
말그릇이 커지기 전이라도 어른의 태도, 보살의 말을 연습하고 싶다면 이것 하나만 기억하면 됩니다.

"준비한 후 천천히"

말을 하기 전 깨어있는 상태에서, 마음챙김으로 마음을 정돈했다면? 준비한 것입니다.
그럼 말하는 것은 전념하여 천천히 말하세요. 이것이 보살의 말하는 방법이고,
동시에 말그릇을 키우는 효과가 있으니까요. 
만약 이렇게 말을 할 수 있다면? 자연스럽게 중생들을 섭수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붓다는 인복을 키우고 사람을 모으는데 있어 최고의 태도 4가지를 말씀하셨습니다.
사섭법이라고 불리죠.
그 중 하나가 애어섭입니다. 좋은 말, 생명을 살리는 말, 예쁜 말을 보살답게 하는 것.
이것이 중생과 은결을 짓는 첫걸음입니다.
5:80  다른 사람을 볼 때마다 내가 부처님의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이 중생들 덕분이라 생각하고 그들을 자비심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네.
5:81  큰 축복은 세 가지 복전에서 나오나니  
공덕의 복전 [경전(敬田):삼보(三寶)]과 
은혜의 복전 [은전(恩田):부모(父母)]에 헌신하고 
고통받는 중생[비전(悲田):중생(衆生)]들에게 공성의 지혜를 가르쳐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주는 것이라네.

#중생을보는관점

 

중생은 말썽장이인가요? 중생은 원수 같은 가요? 중생은 부담스러운 존재인가요?
당신에게 중생은 어떤 존재인가요?
보살에게 있어 중생은 복전입니다. 불자는 삼보를 복전이라고 여깁니다.
이 복전이 없으면 우리는 복을 지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보시와 기부는 그 태도가 다르다]]는 것을 반복해서 설명했습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기부의 경우 안 하면 누가 아쉽나요? 받는 사람이 아쉽습니다.
하지만 보시의 경우 못 하게 되면 누가 아쉬울까요? 하는 사람이 아쉬워야 합니다.
공덕을 짓지 못하게 되었으니 말입니다. 이런 마음가짐과 태도가 바로 기부와 보시를 구분하는 기준입니다.

#복전
부모의 은혜를 갚아야 한다고 여기는 효자들에게는 부모를 복전으로 생각하는 것이 인지상정입니다.
더불어 붓다 역시 부모가 준 이 [[인간 삶의 기회]]를 소중히 여겨야 함을 강조하셨습니다.
부모의 은혜는 무한하다고도 말씀하셨죠. 부모 역시 분명한 복전입니다.
중생은 왜 복전일까요? 불자에게는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효자에게도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이는 오직 보살에게 해당되는 기준입니다.
논리를 따라와보세요.
첫째, 보살은 성불의 길을 걷고 싶습니다.
둘째, 성불의 길을 걷기 위해서는 위대한 공덕을 지어야 합니다.
셋째, 이 위대한 공덕은 '오직, 유일하게' 중생을 구함으로써 지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중생이 없다면?  보살에게 성불의 길이 사라지는 것입니다! 
보살이 성불을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바로 중생 구제이기에, 중생은 희유한 보석입니다.
두 번째 이유도 알려드릴까요?
중생의 정체를 살펴봐야 합니다. 모든 중생은 사실 보살의 전생의 어머니였습니다. 그렇기에 은혜의 복전이죠?
또한 중생은 본래 부처님이었습니다. 그렇기에 공덕의 복전이기도 합니다.
[[보리심을 증장시키는 보리심명상]]을 실천하는 이들에게 있어 중생은 세 가지 복전 모두에 해당되는 

귀하디 귀한 존재입니다. 이런 관점을 가지고 있을 때 보살은 진심으로 기꺼이 중생을 도울 수 있는 것입니다.
5:82 부처님의 가르침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그것을 분명하게 이해하며 악행을 하지 않고
선을 행함에 능숙하고 깊은 신심이 있어야 하나니 모든 업은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짓는 것이라네.

#지악수선
지악수선. 악은 그치고 선은 받들어 행한다. [[모든 붓다의 교육 원리]]입니다.
붓다 뿐 아니라 모든 철학과 종교의 시스템이기도 합니다. 보살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지악수선 + 보리행'입니다. 지악수선의 초점이 자신을 갈고 닦는 수신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보리행은 수행의 목적과 범위를 온 세상으로 확장하는 원동력입니다.
그렇기에 첫째, 이 보리심을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해한다? 이것은 오직 듣고 배우는 것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문혜와 사혜는 모든 수행의 기반입니다.
다음으로 깊은 신심이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보리심 공부에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장기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그것도 초장기간을 투자해야 합니다. 4아승지겁 10대겁이 최소 시간이라고 경전에서 묘사하지 않습니까?
이런 초장기간의 공부에는 반드시 깊은 신심이 있어야 합니다. 확고한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명료한 이해를 통한 목표가 분명해야 합니다.

그러할 때 보리심을 지킬 수 있고, 증장시킬 수 있으며, 실천할 수 있는 것입니다.

 

붓다스쿨의 커리큘럼에 중심 뼈대를 이루는 교과서가 <입보살행론>인 이유는
매일 매일 이 가르침에 접촉하고 연구하는 과정을 통해 문혜와 사혜가 생성되는 것은 물론이요,
이를 바탕으로 지악수선의 실천이 유도될 것이고, 나아가 보리심에 대한 깊은 신심을 바탕으로
온 삶의 과정동안 보리수행을 지속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수행할 때 '[[붓다의 마음을 세상에 전한다]]'는

[[붓다스쿨의 공통서원]]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안그런가요?

 

스님 감사합니다. _()_